2023 연말정산 시기가 시작되었습니다.
연말정산 기간 및 간소화 서비스를 통해, 복잡한 과정 없이 짧은 시간 안에 진행할 수 있게 되었죠.
또한, 1년 동안의 지출 내역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이번 연말정산 시기에
지난 22년의 소득과 지출을 체크하며, 23년 한 해의 소비 계획도 수립해보면 좋겠습니다 :)
연말정산 하는 법과 연말정산 미리보기 및 연말정산 기간 등에 관한 정보가 있으니, 계속 읽어주세요 :)
연말정산이란?
2022년 1월~ 2022년 12월 사이
회사에서 세금을 뗀 근로 소득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,
그 해에 내야 하는 세금을 정산하는 것입니다.
월별 급여 지급 시 소득세,주민세 등의 세금이 빠져나게 되는데,
1년 간 원천징수 된 세금은 부정확하게 계산이 될 수 있습니다.
그래서 정해진 세금보다 많이 내게 된 사람에게는 세금을 돌려주거나,
정해진 세금보다 덜 낸 사람은 세금을 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죠!
연말 정산을 하게 되면 세금 혜택도 받을 수 있는데요!
바로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입니다.
개인 마다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,
꼭! 각자 꼼꼼히 살펴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챙겨가시기 바랍니다.

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? 연말정산 하는법
주요 소득공제 항목으로는
인적공제 /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공제 / 주택청약통장 등이 있고,
주요 세액공제 항목으로는
종교단체 기부금 / 월세 / 의료비 등이 있습니다.
<주요 소득공제>
1. 인적공제
본인 포함 공제 대상 연 소득 100만원 이하
(*근로 소득만 있다면 500만원 이하!)일 경우
배우자, 부양가족 > 1명당 150만원씩 공제
(*대상자가 장애인, 경로 우대자, 부녀자, 한부모 가구 : 50~100만원 만큼 추가 공제 가능)
2.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공제
무주택 세대주
국민주택 규모를 임차하기 위해 은행으로부터 대출,
원리금을 상환중일 경우 (주거용 오피스텔 포함)
400만원 한도 내 원리금 40% 까지 공제
3.주택청약통장
총 급여액 7천만원 이하일 경우,
400만원 한도 내 납입금에 대해 40%공제
<주요 세액공제>
1. 종교단체 기부금
1천만원 이하 20%, 1천만원 초과 35% 의 공제율을 한도 내 적용
2.월세
급여액 7천만원 이하 무주택 근로자 3억 이하의 주택 월세 임차중인 경우
750만 한도 내 15% 공제 가능
(급여액 5천500만원 이하 무주택 근로자 17% 공제 가능)
3.의료비
본인, 배우자 또는 부양 가족을 위한 지출 의료비가 총 급여 3% 초과할 경우 15~30% 범위 내 공제 가능
그럼, 어디서 신청하나요?
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를 통해 진행하게 되며,
연말정산 관련 규정 등 자세한 사항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▼

연말정산 간소화 기능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.
1.신규 입사자 및 퇴사자를 위한 월별 조회 기능
2.신용카드 사용액 미리 확인 가능
3.소득 및 세액공제 영수증 발급기관 연락처 안내 서비스
4.조회되지 않는 의료비 신고센터 운영
5.2022년도 중 성인이 된 자녀의 부양가족 동의 신청

연말제공에서 '일괄제공 서비스' 신청 유무에 따라 이용방법이 다른데,
해당 내용을 확인하여 연말정산 기간 내 진행하시기 바랍니다.
<일괄제공 서비스 이용 신청한 회사일 경우>
회사 / 23.01.14까지 / 일괄제공 대상 근로자 명단 등록
근로자 / 22.12.01 ~ 23.1.19 사이 / 일괄제공 신청 확인(동의)
회사 / 23.01.21부터 / 일괄제공 자료 내려받기
회사 / 23.02.28까지 / 공제신고서 및 증빙자료 검토
회사 / 23.03.10 / 원천세 신고 및 지급명세서 제출
<일괄제공 서비스 이용하지 않는 경우>
근로자 / 23.01.15에 오픈된 간소화 자료 내려받아 회사 제출
회사 / 23.02.28 까지 / 공제신고서 및 증빙자료 검토
회사 / 23.03.10까지 / 원천세 신고서 및 지급명세서 제출

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는 근로자와 회사에 따라 조금씩 달라서,
각 일정은 아래 표를 보며 정리해보겠습니다.

근로자의 경우,
일괄 제공 신청 확인 > 간소화 자료 확인 및 내려받기 > 공제 증명 자료 수집 > 공제 신고서 제출 순
으로 진행됩니다.

회사의 경우,
연말정산 업무 준비 > 일괄제공 희망자 등록 (선택) > 서류 검토 및 원천징수 영수증 발급 > 원천세 신고 및 지급명세서 제출 순으로 진행됩니다.
이렇게 연말정산 시즌 간소화 서비스의 주요 내용과 공제 항목을 살펴보았습니다.
세금을 더 내야하는 경우에는 씁쓸함을 남기는 연말정산이 되겠지만,
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경우라면 13월의 월급이라는 기쁨을 누릴 수 있기에
꼭! 공제 항목을 꼼꼼히 살펴보시고, 연말정산을 잘 마무리 하면 좋겠습니다.
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!
위 글은 폴라리스쉐어의 BlanBunny님이 작성하신 글입니다.
다음 콘텐츠 보러가기 >>
'BEST 콘텐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초간단 포토샵없이 유튜브 썸네일 만들기 (0) | 2023.03.10 |
---|---|
2023 직장인&퇴사자&계약직 개인연말정산 하는법 (+아르바이트 연말정산) (0) | 2023.02.01 |
아바타 : 물의 길, 이건 꼭 알고 보자 [명대사&아바타 1 줄거리] (821) | 2023.01.25 |
2023년 근로장려금 신청자격, 신청기간, 신청방법 알려드려요 (1) | 2023.01.16 |
74년 전통의 에미상 <오징어게임> 수상, K-컨텐츠의 힘 (1289) | 2022.11.0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