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 메타버스는 왜 모두가 이용하기 힘든걸까? "
소개
- 메타버스라는 단어를 들어본 사람은 많아도 실제로 경함한 사람은 적은 현실에 대해서 얘기를 나누고자 합니다
- 그리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해서 생각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
차례
- 메타버스는 무엇인가?
- 메타버스에서 뭘 할수 있는걸까?
- 왜 우리는 사용하지 않을까?
- 미래에는 어떤 모습일까?
" 메타버스는 무엇일까? "
메타버스는 가상세계?
우리가 직관적으로 알아듣는 말은 '가상세계' 이다
메타버스를 어렵게 생각하기보다는 가상세계에서 또다른 경제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*웹3.0 시대의 모습이다
그렇기에 우리는 왜 메타버스로 글로벌의 트랜드가 옮겨갔으며, 어떤 상황인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
*웹3.0 :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인테넛 세상을 웹 2.0이라고 한다, 중앙서버에서 관리되는 플랫폼 형식의 구조를 뜻함.
인류는 오랜 기간 투자를 통해 자산을 불려왔는데, 그중에서도 부동산, 주식은 단연코 최고의 투자가치가 있던 섹터였다
투자의 가장 큰 핵심은 쌀때 사서, 비싸게 팔아야 이윤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일반적인데,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인류는 기술의 발전을 통해 ' 인터넷 ' 이라는 커뮤니티를 만들고 플랫폼을 통해 생활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왔다
"비트코인"
인터넷은 인류에게 또다른 투자를 할 수 있도록 만드는 매력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었다
거래방식은 빠르며, 데이터는 저장되고 새로운 정보를 빠르고 쉽게 습득할 수 있는 요건을 두루 갖추고 있다
그리고 20년대에 들어 '*코인'에 대한 열풍이 불면서, 인터넷세대는 투자의 대상을 코인으로 옮겨가며 시장에 불을 붙이고, 거대한 자본이 흘러들어가게 되었다
*코인 : 실물화폐가 아닌 디지털 화폐
그 속에서도 ' 메타버스 ' 라는 단어는 눈부신 기술의 발전과 트랜드에 민감한 시대를 정확하게 적중했고 메타버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' *NFT ' 의 대체불가토큰 기술은 디지털 시대에 아주 매력적인 무기가 되었고 자본이 몰리는 시장으로 변하게 되었다
*NFT : 대체불가토큰. 웹3.0에서는 모든 데이터는 중앙서버가 보관하는게 아닌 개개인이 모두 동일한 데이터를 보관함에 따라 원본을 알 수 없는 시장에서 원본임을 증명하는 프로그램.
" NFT "
" 메타버스에서 뭘 할수 있는걸까? "
글로벌 기업은 우리에게 무엇을 보여주지?
세계적 기업 페이스북. ( 현재 메타 )
애플의 OS와 안드로이드에서 페이스북은 타겟팅 광고에서 중요한 고객데이터를 부정하게 사용했다는 비난을 통해 큰 타격을 입었다
페이스북은 더이상 늘어나지 않는 회원수 때문에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, 새로운 트랜드를 따라 빠르게 전환하였는데 그중에서 기업명 까지 ' 메타 ' 로 바꾸면서까지 메타버스에 진심인 자세를 취하며 새로운 플랫폼을 제시했지만, 정확하게 실패했다
" 메타사의 오큘러스VR기기와 플랫폼 호라이즌 "
메타버스는 또다른 세계에서 인류가 경험한 시스템과 인프라를 구축해야 하는데, 페이스북은 성급한 출시로 인해 메타버스 속 가장 중요한 가치인 ' 참여 ' 와 ' 지속 ' 이 없었다
겨우 가상세계에서 자신의 아바트를 꾸미고 상대방과 대화하고 가벼운 놀거리정도만 있다면, 안그래도 진입장벽이 높은 세계에서 대중적인 사용은 무척 어려워 보인다.
NFT 전문가, 사각개미 님의 글을 더 읽고 싶다면?
💕폴라리스쉐어 BEST 콘텐츠 더 보기
[BEST 콘텐츠] - 코인 및 블록체인 개념과 특징 총정리 (+거래소 추천까지)
2022.10.11 - [BEST 콘텐츠] - NFT 정의와 종류 그리고 프로젝트까지 총 정리 (+NFT, 코인 차이)
'BEST 콘텐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년 근로장려금 신청자격, 신청기간, 신청방법 알려드려요 (1) | 2023.01.16 |
---|---|
74년 전통의 에미상 <오징어게임> 수상, K-컨텐츠의 힘 (1289) | 2022.11.03 |
학원 안 가고 토익 만점 받는 토익 공부법 7가지 (1355) | 2022.10.27 |
에어팟 프로 에어태그 케이스 사용후기 (+알리익스프레스 가격) (804) | 2022.10.17 |
센스있는 일잘러 되는 방법 (직장인 무료 사이트 추천) (6337) | 2022.10.17 |
댓글